1. 채권이란?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
www.kofiabond.or.kr
채권이란 국가나 지방정부, 회사가 돈을 빌리고 발행한 권리관계와 지불 기한, 금리를 명시한 차용증과 같으며, 이것을 사고팔 수 있도록 상품화한 것이 채권입니다.
대부분 만기금액, 고정금리로 상환되나 상품처럼 사고팔리기 때문에 공급물량 및 기준금리 변화, 채권금리 변화, 경제환경 변화에 따라 만기전까지 채권 가격은 오르내리게 됩니다.
2. 채권금리의 구성
금리란 돈을 빌려줄 때 채권자가 포기하는 부분과 감당해야할 부분에 대한 보상입니다.
그래서, 보통 금리는 아래와 같은 부분을 고려해서 산정합니다.
채권금리 = 무위험 수익 기회비용 + 신용 Risk 보상 + 기간 Risk 보상(예: 인플레이션 등)
cf. 여러 금리가 있습니다. 기준금리(정책금리), 시장금리, 예대금리, 콜금리, CD금리 등등. 금리와 연관된 경제서적 몇 권 읽어 보시기를 권해 드립니다.
무위험 수익이란 신용도 높은 국가의 국채처럼, 국가에 돈을 빌려줄 경우 위험 없이 받을 수 있는 이자수익입니다. 채권자 입장에서는 망하기 힘든 국가라는 채무자에게 돈을 빌려주게 되면, 그냥 정해진 기간 동안 기다리기만 하면 원금과 이자를 무위험으로 받을 수 있는 수익을 포기하는 것과 같으니 채권자 입장에서는 무위험 기회비용이 됩니다.
기간이 길어질수록 무슨일이 생길지 모르니 돈을 빌려주는 기간이 길수록 Risk도 증가합니다.
신용 Risk는 돈을 빌리는 사람/기업의 신용도가 낮을수록, 그 Risk에 대한 보상은 늘어나야 합니다.
3. 채권 종류와 최근 채권금리 추이
아래 테이블을 보면 국채, 공채. 회사채 별로 그리고 기간별로 신용별로 나와 있네요. 10월 29일 채권금리인데, 당연히 기간이 길수록, 신용도 낮을수록 금리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어요.
동일 기간이라 하더라도 국채 금리가 낮고, 회사채는 금리가 높습니다. 당연히 재정건전성이 좋은 나라라면 망할 가능성은 낮고, 아무리 좋은 회사라도 나라보다는 돈 떼일 가능성이 높으니 회사채는 금리가 높습니다.
신용 레벨에 따라 Risk가 다르니 금리차이를 이렇게 두는 것입니다.
채권뿐만 아니라 은행에서 돈을 대출해줄때도 이러한 위험이 수치화돼서 금리가 적용됩니다.
최근 채권 금리를 살펴볼까요?
쭉 비교하며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돈 빌려 주는데 3년보다 10년이 더 위험. 왜? 10년 동안 무슨일이 생길지 모르고 돈 떼일 위험이 커서)
4. 금리스프레드가 좁혀지면 안 좋다던데?
우리나라는 3년 물 국채와 10년 물 국채의 금리차를 금리 스프레드라고 합니다.(미국의 경우 2년 물과 10년 물)
10월 29일 자 기준으로 계산해볼까요?
10년 물 2.397% - 3년 물 2.017 = 0.380
아래는 11월 2일 오늘자 서울경제 기사입니다.
( https://m.sedaily.com/NewsViewAmp/22TV17KIH5 )
11월 2일에는 0.442로 조금 늘었네요.
이 스프레드가 점점 줄어든다는 기사인데 장기금리가 떨어지거나 단기금리가 올라가거나 해야만 금리 스프레드가 축소되겠죠?
인플레이션 우려, 테이퍼링에 대한 우려, 최근 기준금리의 상승으로 3년 물 단기금리의 슈팅이 발생했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만약 원유 및 원자재 가격 인상에 따른 나쁜 인플레이션의 지속, 양적완화로 풀어놓은 유동성 회수, 금리 상승에 따른 가계대출 부실화가 지속, 불량 주택담보 대출채권 발생에 따른 부실 증가 및 자금 회수 증가( 가능성은 낮다고 함) 등등의 사건이 발생하면 시중금리가 더 슈팅 하게 되고 단기금리가 장기금리를 역전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약 단기금리가 장기금리보다 높은 역전 현상이 나타난다면 경제에 중요한 시그널이 발생했다 추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불황 터널에 진입하고 있다는 시그널 등으로 읽을 수도 있습니다. 스프레드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에 최대한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5. 채권금리는 고정금리만 있나?
보통 채권금리는 확정금리이지만 물가연동부 채권처럼 물가에 따라 금리가 변하는 것도 있습니다.
다음은 채권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이 내려간다는 말을 하는데 이 부분을 헷갈려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 부분을 실제 사례를 들어서 설명해 볼게요.
'경제 >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미 기준 금리차이 ( 2021년 11월) (0) | 2021.11.04 |
---|---|
은행 대출 금리의 구성 (0) | 2021.11.02 |
미국고용시장 4월 동향-삼프로 티비 KB 김효진 연구위원 (0) | 2021.05.10 |
혼돈과 불확실성의 트라우마를 극복하라 (10) | 2020.09.01 |
중국몽. 미중 패권전쟁? 2 (2) | 2020.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