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경제공부39 글로벌 경제위기 역사 - 저축대부조합 사태와 PF 위기 유사해! 1970년부터 현재까지의 글로벌 경제위기 역사와 그에 따른 요인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특히나 여러분이 잘 모르실 1980년대 말의 저축 대부조합 S&L 사태에 대해 중점적으로 소개해 드리고 싶습니다. 2007년 서브프라임 사태와 매우 닮아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현 상황과 매우 비슷한 상황이라 공유를 해보고 싶었습니다. 글로벌 경제위기 역사를 정리하는 이유 1년 반이 넘도록 무역수지 적자가 이어지고 있는데, 가계가처분 소득은 감소하고, 한은은 당장의 불을 끄기 위해 미국과 기준금리차를 무리해서라도 2% 차이를 유지하려고 하고, 정부는 가계부채를 높여서라도 부동산 하락을 막으려 하고 있고,정부는 빚내서 집사라는 이야기를 암묵적으로 하고 있는 상항입니다. 마트에서 7~8장 들어있는 상추가 999원에 팔리.. 2023. 8. 13. 기준금리 변동, S&P 500 변화, 미국채 장단기 금리차 역전 3년간의 복기. 기준 금리변동의 시점이 또 다가옵니다. 3년간의 기준금리 변동, S&P500 변화, 미국채 장단기 금리차 역전 기록 복기해서 살펴봅니다. 역사는 되풀이 되니까. 똑같은 우를 범하지 않기 위해. 그리고, 지금 중요한 것은, 여러분의 재무계획을 다시 한번 살펴볼 시점이 왔다는 것입니다. 기준 금리 변동되는 변곡점이 왔을 때 그놈의 미국주식 무서운 미국형! 장단기 국채 금리 역전 본인의 재무계획을 다시 한 번 살펴볼 시기가 왔다 1. 기준 금리 변동되는 변곡점이 왔을 때 기준 금리 변동되는 변곡점이 왔을 때. 다시 이런 누를 범하지 않기 위해 지난 3년간을 돌아보는... 복기해 보는 시간을 갖으려고 합니다. 금리 변동이 언제 있을지 어떻게 알까요? 그것은 아무도 모릅니다. 하지만, 금리 변동이 곧 있을 것 같.. 2023. 7. 22. 양적긴축이란? 대차대조표 축소란? 같은 뜻! 오늘은 양적 완화와 양적 긴축에 대해 비교해 보고, 대차대조표 축소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테이퍼링은 양적 긴축으로 가는 전 단계입니다. 양적 긴축 방법에도 소극적 긴축, 적극적 긴축 등 몇 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 것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양적 완화의 시작 그리고 테이퍼링 연준은 2020년 3월과 글로벌 경제 안정을 위해 1조 5천억 달러 규모의 국채 매입(자산매입)을 통해 양적완화를 시작합니다. 이를 위해, 국채와 주택담보증권(MBS)을 매달 1천200억 달러 이상씩 매입했고, 2021년 11월 매입 속도를 축소하기 시작하여 2022년 3월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를 완료합니다. 채권 매입(자산매입)은 말 그대로 채권을 매입하면서, 매입 대금을 지불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시중에 자금을 풀어주는 것과.. 2022. 1. 18. 2022년 1월 주요 경제 지표 그리고 선행투 의견 2022년 1월초의 전반적인 주요 경제 지표를 정리하겠습니다. 목차 1. 달러지수, 원달러 환율과 주가지수 2. 장단기 국채 금리 스프레드란? 3. 우리나라와 미국의 장단기 국채 금리 스프레드 4. 미국 3대 주가지수 5. 원유 및 주요 원자재 6. GOLD 그리고 인플레이션 7. 결론 - 현재와 미래 그리고 결국은 분산투자 달러지수, 원달러 환율과 주가지수 경제지표를 살펴볼 때는, 지표 변화의 원인과 각 시점 등등, 티핑 포인트를 살펴보세요. 작년 7월 KOSPI 3300을 찍고 원화 약세로 돌아서자 외인은 환차손을 입으니 원화 주식 자산 일부를 팔고 달러로 바꿔 챙겨 떠나야 했습니다. 원화 약세는 가속화됩니다. 코스피는 7월 하락 후 힘을 못쓰고 있지요? 7월 원달러 환율은 1140원대였습니다. 이후.. 2022. 1. 7. 경제위기 마케팅에 재미붙인 언론들에 대한 민언련의 지적 http://www.ccdm.or.kr/xe/watch/306277 OECD・IMF보고서 입맛대로 부각, ‘경제위기 마케팅’ 나선 언론 - 민언련 언론모니터 - 민주언론 OECD(경제협력개발기구)는 11월 8일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2000년부터 2060년까지 www.ccdm.or.kr 민언련의 기사 뽀개기를 소개해 드립니다. 제가 이런 글을 쓰는 이유는 누군가를 비판하려면 제대로 사실을 가지고 비판하자는 뜻에서 입니다. 칼 벅스트롬, 제빈 웨스트의 「똑똑하게 생존하기: 거짓과 기만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인을 위한 헛소리 까발리기의 기술」이라는 책에서 나온 여러 기만 기술들을 우리나라 보수 진보를 막론하고 언론이라는 이름의 기사에서 자주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경제기사를 살펴보더라도 진짜 사실인가???라.. 2021. 12. 25. 국가부채 상승률 타령(2) 소상공인 망하게 손놓으라는 오늘 자 기사 오늘 자 매일경제에 " 금리 상승 불 보듯 뻔한데... 국채 더 찍자는 여"라는 기사가 게재되었습니다. 내용은 국채금리 상승될 것이니, 국채 찍어서 소상공인 지원 같은 것은 절대 하지 말라는 주장입니다. 그냥 "소상공인 지원하지 마"라고 하면 될 것을 빙빙 돌려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돈 이야기를 하지만 결국은 그냥 선거에 영향을 미치니 그런 짓 하지 마라고 이야기하고 싶나 봅니다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1/12/1131254/ 금리상승 불보듯 뻔한데…국채 더 찍자는 與 국채 80% 내국인이 보유해 빚내도 문제없다는 여당 시장선 "금리 1%P 치솟고 국가 신용등급 하락" 우려 "시장충격 따른 투자자 투매 내외국인 구분 없이 일어나" www.mk.co.kr.. 2021. 12. 13. 국가 부채 증가율만 부각시키는 경제기사의 문제점 언론들의 국가 부채 비율에 관련된 왜곡 기사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이런 류의 기사들을 살펴보면 아래 비유와 같습니다. 100km/h 이하 주행 도로에서 우리나라는 20km/h로 달리다가 30km/h로 최근 속도를 올렸고, 다른 나라는 80km/h에서 90km/h나 100km/h에서 110km/h로 속도를 올린 상황입니다. 속도증가율만 이야기하면 우리는 50%가 상승했고, 다른 나라는 10~15%만 상승했죠. 우리나라 보수 언론이 국가부채 이야기할 때 비교가 되는 다른 나라 부채 크기는 빼고 50% 증가율만 놓고 기사를 강조해서 씁니다. 당장 우리나라가 어떻게 될 듯 착각을 의도적으로 일으키는 것 입니다. 기자는 속으로 그럴겁니다 "나는 거짓말한 것 없어, 50%가 맞으니까..." 이런식인 경제 기.. 2021. 12. 11. 글로벌 경제 위기 정리, 주식시장 그리고 경제위기와 금 가격 연관성 오늘은 주식과 금의 연관성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주식시장과 금 가격은 연관성이 있다 하고, 어떤 사람들은 연관성이 없다 하고 말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수십 년 간의 글로벌 경제위기, 주식시장 등락, 금 가격의 연관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차트를 만들었습니다. 글로벌 경제 위기와 주식시장 그리고 금 가격 연관성에 대해 시원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장기적으로 연관성이 없습니다. 더 정확히 말하면 연관성이 있다가도 없고 있다가도 없습니다. 2000~2021년 글로벌 경제 위기와 금 선물가격, 주가 관계 위의 차트를 가만히 살펴보면, 2000년부터 20년간 수많은 위기가 오고 갔습니다. 위 그림에 20년간 발생했던 글로벌 경제 위기 / 금융 위기의 시작, 중요 이벤트, 글로벌 경제 위기의 소.. 2021. 12. 8. 금 투자 반드시 알아야 하는 것 그리고 달러 인덱스 목차 1. 금본위 제도에서 페트로 달러의 시대로 - 역사에 관해 2. 금 가격 변동의 본질은 금 가격이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달러의 가치가 떨어져 금 가격이 오르는 것 3. 금 투자시기 및 방법 선택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것들 금본위 제도에서 페트로 달러의 시대로 금본위 제도 초기 1온스당 발행할 수 있는 달러가 제한되어 있었지만 여러 나라의 금본위 제도가 그랬던 것처럼 대통령이 바뀜에 따라 발행 가능 액수는 점점 늘어납니다. 루스벨트는 대공황 이후 1935년에 금본위제를 포기합니다. 1944년 2차 세계대전이 종전으로 향해갈 무렵 1온스당 35달러로 고정하는 금본위제, 달러를 기축 통화로 한다는 브레튼우드 체제를 통해 금본위제는 다시 부활합니다. 이후 1971년 닉슨에 의해 금본위제는 다시 종말을.. 2021. 12. 6. 대출 예적금 금리 한 번에 비교하기 대출금리 등 각 종 금리 한 번에 확인 가능한 곳이 몇 곳 있습니다. 금융감독원 사이트를 추천합니다. 대출금리, 예금 적금 금리 모두 확인 가능하고 편리합니다. https://finlife.fss.or.kr/deposit/selectDeposit.do?menuId=2000100 홈|저축|예금 | 금융상품 통합 비교공시 시스템 ※ 아래 대상에 해당하는 거주자가 비과세종합저축에 가입할 경우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가입대상) 만 65세 이상인 거주자(2015년 만 61세에서 2019년까지 매년 1세 finlife.fss.or.kr 은행연합회에서도 예적금 금리는 조회 가능하지만 대출금리 확인은 못합니다. 2021. 11. 26.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