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투자17

어그로 유튜버들의 ING 주택시장 보고서 활용법 역전세와 PF대출까지 어그로 유튜버들의 ING 주택시장 보고서에 대한 영상을 보고 이 글을 작성했습니다. 뭔가 엄청난 폭락이 앞으로 있을 것처럼 어그로를 끄는 유투버들의 의견들은 무시하시고, 차분하게 부동산 약세장을 예측한 보고서이니 읽어보시면 여러분들께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보고서 내용을 요약하고, 초보자 분들도 알 수 있도록 보고서에서 리스크로 언급한 역전세뜻과 PF대출뜻 등을 정리해서 쉽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보고서의 결론만 먼저 이야기하면, "서울은 2~3년 동안 약세장이 펼쳐질 것이고, 지방 부동산 시장은 아주 어려울 것이다. 2~3년 후 서울은 강세장으로 다시 돌아설 가능성이 있고, 장기적으로 대한민국의 주택시장 전망은 밝다" 정도가 요약입니다. 목차 1. ING 대한민국 부동산 보고서 요약 2. 저가매수는 기.. 2023. 7. 30.
전국 / 서울 상가 층별임대료, 효용비율, 층별가치, 층별임대료 차이 상가의 경우 층별 임대료 차이가 많이 나죠? 층별 효용비율이라고 하는데 상가는 층별 가치가 다르기 때문에 층별 임대료도 차이가 크게 발생합니다. 효용비율은 년간 단위로 조사되며 2023년 자료는 8월에나 나오고 몇몇 곳을 제외하고 2022년과 큰 차이가 없을 겁니다. 아래 공유 자료는 전국 주요 상권 자료이니 관심있는 분은 살펴보세요. 서울만 예를 들어 설명 드려도 자료보는데 문제 없을겁니다. 목차 1. 효용비율이란? 2. 서울 상가 임대료 및 효용비율 동향 3. 상가 경매 및 매매시 참고 사항 1. 효용비율이란? 상가에서 효용비율이란, 1층의 평균 임대료를 기준으로 기타 층의 임대료의 비율을 효용비율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보통 1층의 임대료는 보통 2층의 2배이고 3층 이상의 경우 1층의 25~50.. 2023. 6. 30.
국토부아파트실거래가조회 방법 국토부 아파트실거래가조회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따라 해보면 국토부 실거래가 조회 방법은 매우 쉽습니다. 혹시나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도 궁금해하시는 분이 있어 뒤에 간단하게 언급하겠습니다. 목차 1. 국토부 아파트실거래가 조회 방법 2.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 방법 1. 국토부 아파트실거래가조회 방법 보통 아파트에 사시는 분들이 많아 국토부 아파트실거래가 시스템이라고 알고 있은 분들이 많지만 정확한 명칭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입니다. 여기에서는 아파트, 연립/다세대, 단독/다가구, 상업시설, 토지까지 모든 실거래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주거용 부동산의 경우, 매매뿐만 아니라 전월세 계약 현황까지 조회가 가능합니다. (1) 시스템 URL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s://rt.m.. 2023. 6. 30.
유통주식수 대비 외인투자비율 증가기업 찾기 투자기업의 외인투자비율 증감을 확인하자. 주식수 대비 외인투자 비율이 증가하면 어떻게 될까요? 반대로 외인 투자 비율이 감소하면 어떻게 될까요? 모두 주식의 등락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살펴볼 필요성이 있습니다. 목차 1. 확인 방법. 한국거래소 접속하기 2. 외인 비율 증가기업 3. 외인 비율 감소기업 4. 증감원인 찾기 어떤 방법으로 확인을 해야할지 생각해 보면 난감합니다. 간단한 방법을 알려드릴께요. 한국거래소에 모든 정보가 있습니다!!! 1. 한국 거래소에 접속한다. http://data.krx.co.kr/contents/MMC/RANK/rank/MMCRANK007.cmd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증권·파생상품의 시장정보(Marketdata), 공매도정보, 투자분석정보(SMILE) 등 한국거래소의 .. 2022. 4. 8.
수소산업-플러그파워 (PLUG POWER) 미국의 그린수소 기업 장단점과 투자포인트 오늘은 글로벌로 핫한 수소 관련 기업을 소개해 드립니다. 최근 핫한 수소 기업은 NewHydrogen, PLUG POWER입니다. 먼저 SK가 투자하여 국내에서 인지도 높은 PLUG POEWER과 이후 NewHydrogen을 포스팅하겠습니다. NewHydrogen은 GM이 최근 투자한 기업입니다. 학교에 현대차의 수소엔진 시험차가 있었고 운행하는 모습을 가끔 봤는데, 그때 당시에는 정말 꿈같은 기술을 눈으로 직접 봐서 신기하기만 했습니다. 그로부터 십수년이 흘렀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두산 퓨얼셀과 일진 하이솔루스가 뜨고, 미국에서는 플러그 파워라는 수소생산 기업이 몇 년 전부터 뜨고 있습니다. 수소산업이 점점 실생활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2023년 8월말 기사가 하나 나왔는데, 플러그파워가 흑자전환할 것.. 2022. 1. 9.
서울 미분양 10년 추세 및 전국 미분양 상황 그리고 대세상승 시그널 서울을 보기 전에 전체 시도별 주택 미분양 추세를 살펴볼까요? 아직 11월~12월 현황은 업데이트되지 않았습니다. 목차 1. 전국 미분양 상황 2. 서울 과거 10년간 미분양 상황 3. 늦었다고 조바심 내지말자. 역사는 되풀이 된다. 시장에 관심을 가지고 대세 상승 시그널을 기다리고 투자를 준비하자 전국 미분양 상황 - 서울 미분양은 거의 없고 지방은 소화되다가 다시 쌓이고 있는 중 2021년 10월 기준 서울은 55가구 미분양이니까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대부분 서울 미분양은 30세대 미니 아파트입니다. 나머지 빨간색과 노란색으로 표시한 시도는 미분양 900세대 이상의 지역입니다. - 1000세대 이상 미분양 : 전남, 경북, 대구, 경남, 강원, 충남 - 미분양 증가 지역 : 전남, 경북, 대구.. 2022. 1. 4.
공포지수란? VIX? 오미크론 공포 2021년 12월 현재 공포를 느끼는 주식 시장? 공포지수? 최근 오미크론 확산, 인플레이션의 지속 상승, 긴축으로의 선회 등으로 나스닥은 최근 한 달간 5% 하락하고, 중소형주 지수인 러셀 2000은 약 8%대의 하락을 보이고 있습니다. 오미크론이 확산되면서 사람들은 다시 공포를 느끼고 있습니다. 2021년 12월 23일 현재 사람들이 느끼는 공포는 어느 정도일까요? 시장 참여자들이 공포를 느끼면 어떻게 될까요? 투매를 하고 시장을 떠나려 하겠죠? 이 공포를 지수화 시킬 수 있을까요?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를 알 수 있을 것이니까요. 하지만, 공포를 지수화시킬 수는 없습니다. 그런데, VIX를 우리는 공포지수라고 부릅니다. 왜 공포지수라고 부를까요? 공포지수, VIX를 아는 것이 우리의 투자에 어떤 도움이 될까요? 공포지수 V.. 2021. 12. 23.
지역별 아파트가격 상승과 통화량 연관성 분석하기 아파트 매매 가격과 통화량과의 관계에 대해 분석해 보겠습니다. 통화량 M1, M2 분석을 통해 아파트 매매지수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M1은 한국은행에서 발행시킨 통화, 본원통화이고, M2는 이것을 받아 시중은행권에서 대출, 투자 등등을 통해 유통시키는 돈입니다. M1, M2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간단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한국은행이 100원을 발행하여 A은행에 공급합니다. A은행은 갑에게 100원을 빌려주고, 갑은 100원을 투자하고, 투자대금을 지급받은 을은 50원을 B은행에, 나머지 50원을 C은행에 저축하고, B은행과 C은행은 각각 40원을 다시 병과 정에게 대출해주는 식으로 돈이 돌고 돌아다닙니다. 즉, 본원통화 100원이 유통되었지만, 시중에는 이것보다 훨씬 많은 돈들.. 2021. 12. 5.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부동산 대세하락 시점은? 11월 22일 자 전국 아파트 매매 가격 동향 자료 요약해 드립니다. 대부분의 자료는 KB부동산, 부동산 지인 자료를 인용했고, 제가 만든 그래프도 있습니다. 지역별 아파트 매매가격 주간 변동률 전체적으로 추세 하락이고 상승폭이 둔화되는 정도, 이번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시장 반영은 빨라도 12월~1월 발표된 자료를 봐야 합니다. 지방 중 충청, 제주, 광주 등이 수도권 등 주요 도시 상승이 주춤한 사이 다시 조금씩 오르는 모습을 보이고 있네요. 하지만 전체 시장이 매수자 우위 시장으로 바뀌었습니다. 대구가 하락으로 돌아선 이유는 7월 1148채에서 8월 1200여 채가 증가한 2365채, 9월 2093채로 8월 대비 약 270여 채가 줄어들었습니다. 하지만, 미분양 아파트가 쌓여가는 상황이고, 대구를 .. 2021. 11. 29.
미국 경제지표 뉴스 읽기 주가전망 미국 경제지표를 살펴보고 경제전망에 대한 언론의 생각들을 전달하겠습니다. 최근 달러인덱스 하락, 금가격하락, 국채금리 상승에 대한 세세한 경제지표들의 작은 등락보다는 추세가 유지되는지 반전되는지 추세관점에서 바라봤습니다. 먼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1. 시장 참여자들은 아직까지 낙관적으로 보고 있다. 2. 달러도 여전히 강세라 조금 더 달릴 여지는 있다. 3. 하지만 원자재 및 에너지가는 여전히 비싸고 (업데이트: 11/20일 유럽 코로나 확대, 미중전략비축유 방출 우려로 브렌트유 3%, WTI 3.8% 폭락했지만 여전히 비쌈. 전략비축유 방출 효과는 직방으로 나타날 것이나, 무한정 방출할수 없으니 효과는 길지 않을 것.) 4. 인플레이션 목표 2% 대비, 소비자물가지수는 3배인 6.2%로 31년만에 가.. 2021. 1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