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경제공부39

한미 기준 금리차이 ( 2021년 11월) 미국은 느긋하다. 11월 한국 미국 기준금리 차이입니다. FED는 테이퍼링을 시작하겠다고 시장에 계속 준비 시그널을 주며 시장이 심장마비 걸리지 않도록 준비운동을 꽤나 오래 시키더니 드디어 테이퍼링을 시작하겠다고 합니다. 이런 이유로 벌써 시중금리는 반응하며 슈팅을 하고 있습니다. 테이퍼링을 진행하면서 내년쯤에는 인플레이션 정도와 고용 상황 등을 보면서 FED가 기준 금리를 올리기 시작할 건데, 미국의 경우 보통 우리나라보다 기준금리를 올리기 시작하면 상당히 가파르게 올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선제적으로 기준금리 인상한 주요국들 우리나라는 미국보다 빠르게 선제적으로 8월에 기준금리를 올렸으나, 미국은 여전히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주요국들의 경우 기준금리를 선제적으로.. 2021. 11. 4.
은행 대출 금리의 구성 대출금리는 어떻게 결정되나? 대출상품에 따라 참고하는 금리 기준이 있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주택담보대출은 코픽스 금리를 기준으로 합니다. 하지만, 은행은 돈을 어디선가 채권, CD, Call, 고객 예적금 등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빌려와서 마진을 붙여 파는 장사입니다. 그래서 대출금리를 결정하는 것이 실제론 매우 복잡합니다. 예상손실률은 개인을 신용상태에 따른 부도율, 회수율을 고려하여 차등 부여합니다. 최종 대출금리 = 우대금리 + 고객별 예상손실률 우대금리 = 평균 조달금리 + 업무 원가율 + 적정마진율 예상손실률 = 부도율 × ( 1 - 회수율) 2021. 11. 2.
채권과 채권 금리란? 1. 채권이란? 채권 사이트 www.kofiabond.or.kr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 www.kofiabond.or.kr 채권이란 국가나 지방정부, 회사가 돈을 빌리고 발행한 권리관계와 지불 기한, 금리를 명시한 차용증과 같으며, 이것을 사고팔 수 있도록 상품화한 것이 채권입니다. 대부분 만기금액, 고정금리로 상환되나 상품처럼 사고팔리기 때문에 공급물량 및 기준금리 변화, 채권금리 변화, 경제환경 변화에 따라 만기전까지 채권 가격은 오르내리게 됩니다. 2. 채권금리의 구성 금리란 돈을 빌려줄 때 채권자가 포기하는 부분과 감당해야할 부분에 대한 보상입니다. 그래서, 보통 금리는 아래와 같은 부분을 고려해서 산정합니다. 채권금리 = 무위험 수익 기회비용 + 신용 Risk 보상 + 기간 Risk 보상(예:.. 2021. 10. 30.
미국고용시장 4월 동향-삼프로 티비 KB 김효진 연구위원 4월 미국 고용지수가 비록 낮게 나왔지만, 다음 달부터 회복할 것이니 너무 즐거워하지 말 것. 식당의 음식값과 한 번 오른 임금이 떨어지는 것을 본 적이 있는지? 이처럼 하방 경직성이 강한 임금이 작년 대비 10%나 상승했음(물론 미국 이야기^^) 2021년 1월 보조금 지급 등으로 미국 저축률이 다시 20퍼센트 중반을 달리고 있어, 근로자들이 코로나 시기를 아직까지 견딜만하기 때문에 고용시장에 적극적으로 나오지 않고 있다는 것. 결국 임금인상과 원자재값 상승 등은 인플레이션을 불러 올 수밖에 없다는 점 (일부에서는 사재기에 따른 단기 상승이며 시간이 지나면 원자재 폭등은 오래가지 못하고 임금 상승도 미비할 것이라는 시나리오도 있음: 한국투자 박소연 부장) 7월 정상 복귀를 외치는 미국 정부와 미국 접종.. 2021. 5. 10.
혼돈과 불확실성의 트라우마를 극복하라 "불확실성을 회피한다면 개인이든 국가든 그 미래는 어두울 수밖에 없다." "노력 대비 성과가 완벽하게 검증된, 완전한 무위험 자산에만 투자하겠다는 태도는 아무것도 이루지 못할 것이다." " 불확실성 선택이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경험 축적해 가는 것이 중요하다." "확실성의 일방적 선호 풍조를 바꾸려면 확실성이 비용을 수반한다는 것, 그리고 불확실성도 가치를 지닌다는 신호가 지속적으로 발신되어야 한다." 위 문구들은, 전 삼성경제연구소 경영전략실장 김은환 님의 글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글 전체를 읽어보고 싶으신 분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https://www.yeosijae.org/research/1010 [새로운 가치연구 ③] 혼돈과 불확실성의 트라우마를 극복하라 불확실성 선택이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2020. 9. 1.
중국몽. 미중 패권전쟁? 2 (2) 기축통화 변화의 역사적 이해로부터 배우기 미국이 영국을 누르고 19세기 중반 ~ 20세기 초에 패권을 차지하게 된 과정을 살펴보면 재미있습니다. 19세기쯤의 상황과 비교하면 지금은 미중 패권 전쟁의 그 도입부쯤이라고 생각해보면 비슷합니다. 18~19세기 영국은 산업혁명을 통해 축적한 자본, 기술, 군사력을 가지고 세계 도처에 식민지를 적대적 M&A를 하듯 만들었고, 누구도 넘보지 못할 세계 패권국가로 등극합니다. 하지만, 미국에 곧 덜미를 잡히게 됩니다. 경제사 관점에서 부족한 지식이지만 정리해 보겠습니다. 미국은 19세기 중후반부터 GDP 1위 제 1차 세계대전, 영국과 유럽의 동반 추락 이 글을 읽으실 때 역사적 전환기에서 미영의 경제 격차를 위의 그래프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위 그래프.. 2020. 8. 10.
중국몽. 미중 패권전쟁 1 미중 무역전쟁. 헤게모니 싸움 끼 인자들의 고뇌. (1) 그리고 끼인 자 대한민국. 최근 미중 분쟁을 보며, 패권경쟁, 기축통화 진입 경쟁 등등을 주제로 여러 블로거 분들이 좋은 분석 글을 올리고, 또 다른 블로거 분들이 반박하는 글들을 보면서 꽤 흥미롭게 상황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과거의 역사적 사실, 현재의 상황, 저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런저런 생각을 글로 적어보고 싶었습니다. 역사적으로 패권의 교체는 경제, 기술, 군사력, 마인드의 변화가 오랜 동안 수반되어야 가능한 일입니다. 언론에서 미중 패권 전쟁을 요란하게 보도하지만, 과거 영국에서 미국으로 패권이 이전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변화뿐만 아니라 정서적 변화 등이 수반되어야 하고 이것을 기나긴 시간 동안 배척하고 수용.. 2020. 7. 30.
당신과 나만 가난해 지는 중?? 국가와 기업은 점점 부유해 진다는데?? 요약 1. 빈부격차. 부는 기업에 더욱더 편중되고 있으며, (특히, 기재부 관리들 마인드에 의해) 우리 정부도 이에 못지않게 탐욕적으로 부를 축적하고 있으며 2. 글로벌이든 우리나라던 개인 간 소득격차도 커지다 못해 고착화되고 있으며 3. 우리나라 경제 사회정책이 1980~2016년 유럽의 기조처럼 바뀌지 않는 이상 앞으로도 부의 편중은 커질 것이며 4. 여기에 더해 노년 부양비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더 급격히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자본소득 증가가 없다면 당신이 상상하는 것보다 더욱더 곤궁해질 것이다. 5. 우리는 생의 반을 노년으로 살아가는데, 이래도 투자하지 않고 살래? 1. 열심히 일해도 나는 가난해져. 기업은 부자가 된다는데. IMF 이후 총 생성 소득 중 노동소득분배율은 꾸준히 하락하고,.. 2020. 7. 17.
내 월급. 빈자의 소득. 영혼을 갈아 넣어 받은 월급의 가치. 재직 중인 회사의 무형가치. 요약, 1. 당신 노동의 화폐가치는 생각보다 굉장히 크다. 내 영혼을 갈아넣고 받은 피 같은 월급! 그 가치는 도대체 얼마야? 우리 동네 수위 아저씨 월급이 200만 원이라면 실제 노동의 가치는?? 아주 아메바스럽게 계산해보았습니다. 년 12억!!!!! (월 2,000,000 X 12개월) / 0.02 금리 = 1,200,000,000원 월 200만원을 은행에서 이자로 받기 위해 얼마를 예적금으로 예치해야 할까요? 예적금 2% 금리로 계산해보면 됩니다. 2%면 현재 기준으로 꽤 좋은 이율입니다. 월 200만원의 금융소득을 받기 위해서는 최소 12억 원. 여러분이 과장급 30대 후반이고 약 월 400만 원의 월급을 받고 있다면? 24억 원!!! 실제 올해 1 금융권 1년 만기 이자가 평균 1.5%이니까 위.. 2020. 7.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