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경제공부39

강달러 시대의 대한민국 주요 경제 지표 정리 그리고 매파의 귀환, 11월22일 대한민국 경제지표 정리해 보겠습니다. 대한민국 경제 지표를 정리하면서 주가와 주택 가격에 대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우리나라 경제지표 이야기지만 달러환율과 미국 기준금리, 미국 및 중국 경제상황에 대해 언급을 안 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이야기가 반이 넘습니다. 특히 지금은 강달러의 시대! 달러가 강세인 경기 상황이기 때문에 과거 강달러 시대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지금의 강달러 시대를 어떻게 이해하고 바라봐야 하는지에 대해 말씀드리고 투자방향을 잡아 가는데 작은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우리나라 소비자물가지수는 근래 10년만에 최고 상승을 보여줬습니다. M1을 작년말부터 줄이고 있지만 M2 증가율은 여전히 12.8%로 시중에 많은 돈이 풀려 있습니다. 내 주머니에 없을 뿐! (M1 : 본원통화, 한국은행이.. 2021. 11. 22.
대출금리 상승 원인은, 은행의 욕심때문에 우대금리를 내렸기 때문 대출금리는 어떻게 결정되나? 대출금리는 어떻게 결정되고, 기준금리가 하락해도 대출금리가 오르는 이유가 무엇인지가 궁금하다는 분이 많습니다. 힘들게 대출을 받고 열심히 이자를 내면서 원금도 조금씩 갚아 갑니다. 기준금리가 내려갔다는 기사가 나오지만 웬일인지 내 대출금리는 꿈쩍도 않고 내려가지 않다가 몇 달이 지나 찔끔 내려갑니다. 최근에는 기준금리가 오를지도 모른다는 소문이 있더니, 기준금리는 오르지도 않았는데 내 대출금리가 오르고 피 같은 돈은 삥 뜯기듯 은행으로 빠져나갑니다. 아~~ 짜증 나!!!!!!! 도대체 은행금리는 어떻게 결정될까요? 은행 가서 대출을 할 때 아래 그림과 같은 대출금리 산정 내역서를 볼 수 있습니다. 대출 때문에 은행에 가는 경우, 은행 직원은 이것저것 확인하고 물어봅니다. 통장.. 2021. 11. 21.
기준금리가 뭔가요? 오늘은 기준금리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기준금리가 오른다는데 나에게 미치는 영향은? 기준금리에 대해 가장 궁금한 부분은, "기준금리가 오른다고 하는데 나에게 미치는 영향이 뭐지? 대출금리랑은 무슨 관계이지?라고 궁금하실 겁니다. 한국은행은 돈을 발행합니다. 그리고, 물가안정을 목적으로 존재합니다. 기준금리는 시중 유통금리의 가장 Base가 되는 금리입니다. 모두들 여기에서 돈을 가져다 이자를 붙여 사람들에게 빌려주고, 투자를 합니다. 그래서 기준금리가 오르면 모든 금리가 오릅니다. 기준금리 0.25% 올린다는데, "겨우?"가 아니다. 시중은행은 한국은행에서 돈을 가져다가, 또는 고객 예탁금을 가지고 이자 장사를 하는 집단입니다. 요새 가장 걱정들이 많으신 주택담보 금리는 COFIX 금리를 기준으로 .. 2021. 11. 21.
FOMC 란? 멤버 구성은? 2022년은 대부분 매파들로 채워져. FOMC 회의라도 한 번 하게 되면 신문이나 방송이 엄청 관련 기사를 냅니다. FOMC란 무엇인지, 인원구성은 어떻게 되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목차 1. FOMC란? 2. FOMC 멤버 구성 3. FOMC 멤버 및 성향 FOMC란? FOMC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FOMC)로 12명의 멤버로 미국 중앙은행인, FED (Federal Reserve )산하의 위원회입니다. 아래 그림을 보시면 FED, FRB, FOMC의 차이와 인원 구성이 어떻게 되는지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FOMC는 연 8회의 정례회의를 갖고, 미국의 기준금리와 금융정책을 결정하는 최고 의결기관입니다. ( 참고로 미국 중앙은행은 FED이며 FRB(연방준비제도 이사회) 7명이 의사결정을.. 2021. 11. 20.
연준 조기 테이퍼링, 조기 기준금리 인상, FOMC 멤버들의 언급 어제 예상했던 것과 같이 테이퍼링 완료와 기준금리를 조기에 인상할 수 있다는 FOMC 멤버들의 언급이 나오면서, 조기 금리인상 가능성도 높아졌습니다. FOMC 투표권을 가지고 있는 인물들의 최근 발언을 살펴보겠습니다. FOMC 투표권을 가지고 있는 FED의 크레리다 부의장과 월러 이사가 어제 같은 날, 다른 장소에서 경기회복 및 인플레이션에 따라 테이퍼링 속도를 더 높여야 한다고 언급하고, 조기 금리인상도 다음 FOMC에서 논의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연준은 매달 국채와 모기지채권인 MBS를 1200억 달러를 매입하여 시중에 돈을 풀어주고 있었습니다. FOMC에서 11월 12월에는 매입 규모를 150억 달러씩 줄이는 테이퍼링을 착수해서 내년 6월 테이퍼링을 완료하려 했습니다. 하지만, 예상보다 인플레이션이.. 2021. 11. 20.
환율방어 위해서 돈을 빨아들인다. 통화안정증권 경제에서 환율은 금리와 함께 정말 중요합니다. 수출이 잘돼 시중에 달러가 넘쳐나면 원달러 환율이 어떻게 될까요? 달러가 흔해져서 가치가 떨어지니 원화의 가치가 올라갑니다. 원화의 가치가 올라가니 원으로 달러를 살 때 지불하는 금액인 원달러 환율은, 달러가 흔해졌으니 원화로 조금만 줘도 살 수 있겠죠? 네, 수출이 잘되면 결국 국내로 들어온 달러들로 인해 원화가치가 오르게 됩니다. 그래서 원달러 환율이 떨어지고요. 원달러 환율이 떨어지면 수출기업의 가격경쟁력이 떨어집니다. 그래서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은 외환시장에 개입을 하게 됩니다. 기획재정부는 정책적 판단을 실제 개입은 한국은행(국제국 외환시장팀)에서 담당하며 이들이 외환당국의 주체입니다. 한국은행은 달러를 사들입니다. 이렇게 하면 시장에서 달러가 다시.. 2021. 11. 17.
재고관리?? 재고순환지표를 참고해보자. 아파트 재고는??? 미분양아파트!!! 기업의 재고는 그 회사가 참여하는 마켓의 현재 상황과 앞으로를 가늠해 볼 수 있는 하나의 힌트와 같습니다. 경기가 좋으면 생산량은 늘어 나더라도 재고는 감소할 것이고(재고순환지표 상승), 반대로 경기가 좋지 않으면 재고는 증가하고 생산량은 감소할 것이기 때문입니다.(재고순환지표 하락) 재고상태는 경기를 민감하게 반영하기 때문에 향후 경기를 예상하는데 활용됩니다. 통계청에서는 매달 산업활동동향을 발표하고 그 안에 재고순환지표를 포함시킵니다. 최근 정부가 가계대출 부실화를 막기 위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6% 이내로 틀어막는 강력한 대출규제를 하고 있습니다. 실수요자들에게 대출을 풀어주고 싶더라도 가계대출 부실화라는 더 큰 문제가 있어 금융당국에서도 실수요 무주택자라 하더라도 당장 풀어주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 2021. 11. 15.
신용스프레드란? 예: 최근 회사채 발행규모, 중국 헝다 사태 신용이 가장 좋은 「국고채 금리 vs 회사채 금리」 차이가 신용스프레드입니다. 경기가 좋을 때는 회사들의 부도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아 채권을 낮은 금리에 발행할 수 있어, 국고채 금리 대비 회사채 금리의 간격이 좁혀집니다. 경기가 나빠지면, 회사들의 신용도 리스크와 부도 우려도 증가하기 때문에 회사채 금리가 상승하면서 국고채 금리와 회사채 금리 차이가 확대됩니다. 화사채금리가 급등하고 신용스프레드가 확대된다는 것은 경기가 부진의 늪으로 빠져들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하면 됩니다. 몇 개의 기사를 읽어보고 현재의 신용스프레드 상황과 회사채 관련 이슈를 점검해 보겠습니다. 11월 18일 자 기사입니다. 아래 링크 클릭하셔서 원본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하이투자증권 박.. 2021. 11. 15.
그레이트 캐피탈힐, 적당한 인플레이션은 경제를 활성화시킨다. 인플레이션 시대? 인플레이션이 없으면 경제가 발전하지 않는다. (그레이트 캐피털힐 베이비시팅조합 사례) https://en.wikipedia.org/wiki/Capitol_Hill_Babysitting_Co-op Capitol Hill Babysitting Co-op - Wikipedia The Capitol Hill Babysitting Cooperative (CHBC) is a cooperative located in Washington, D.C., whose purpose is to fairly distribute the responsibility of babysitting between its members. The co-op is often used as an allegory for a dema.. 2021. 11. 14.
정부는 일부러 돈의 가치를 적정 수준 떨어뜨려 당신을 소비와 투자에 나서게 한다. 심플하게 생각하자!!!! 경제가 돌아가려면 돈의 가치가 적당히 떨어져야 한다. 모두가 저축을 한다면 경제에 활력이 있을까? 미래를 위해 저축만 늘린다면 소비가 위축되어 경기가 살아나지 않는다. 정부가 금리를 낮추는 이유는 시장에 돈을 싸게 풀어 투자와 소비활동을 높이고 싶기 때문이다. 소비가 증가하면 수요공급의 법칙에 따라 물가는 오르게 된다. 따라서 금리인하는 보통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한 만큼 화폐가치는 떨어지게 된다. 바로, 인플레이션을 통해 개인이 가지고 있는 돈의 가치를 일부러 떨어트려 강제적으로 투자와 소비에 나서게 하려는 의도도 숨어있다는 것이다. 즉, 한국은행이 금리를 낮추면 시장에 돈이 돌게 되면서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데, 이런 상황에서 당신이 현금을 가지고.. 2021. 11. 14.